분야별 정보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이용기술

  • 바이오에너지 이용기술이란 바이오매스(Biomass, 유기성 생물체를 총칭)를 직접 또는 생ㆍ화학적, 물리적 변환과정을 통해 액체, 가스, 고체연료나 전기ㆍ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화학, 생물, 연소공학 등의 기술을 일컬음
  • Biomass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ㆍ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 유기체

바이오에너지 변환 시스템

바이오에너지 변환 시스템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폐기물

폐기물 에너지 기술

  • 폐기물 에너지는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
  •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성형고체 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회수 기술 등의 가공ㆍ처리 방법을 통해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가스 연료, 폐열 등을 생산하고, 이를 산업 생산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

폐기물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 성형고체연료(RDF : Refuse Derived Fuel) :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고체연료

  • 폐유 정제유 :

    자동차 폐윤활유 등의 폐유를 이온정제법, 열분해 정제법, 감압증류법 등의 공정으로 정제하여 생산된 재생유

  • 플라스틱 열분해 연료유 :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타이어 등의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생산되는 청정 연료유

  • 폐기물 소각열 :

    가연성 폐기물 소각열 회수에 의한 스팀생산 및 발전, 시멘트킬른 및 철광석소성로 등의 열원으로의 이용 등

석탄 가스화 · 액화

석탄(중질잔사유) 가스화

가스화 복합발전기술(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석탄,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고압의 가스화기에서 수증기와 함께 한정된 산소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등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신기술

석탄액화

고체 연료인 석탄을 휘발유 및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기술로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용매를 사용하여 전환하는 직접액화 방식과, 석탄가스화 후 촉매상에서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간접액화 기술이 있음

특징 및 시스템 구성도

특징
특징 및 시스템 구성도 - 장점, 단점에 대한 정보 제공
장점 단점
  • 고효율 발전
  • SOx를 95% 이상, NOx를 90% 이상 저감하는 환경친화기술
  • 다양한 저급연료(석탄, 중질잔사유, 폐기물 등)를 활용한 전기생산 가능, 화학플랜트 활용, 액화연료 생산 등 다양한 형태의 고부가가치의 에너지화
  • 소요 면적이 넓은 대형 장치산업으로 시스템 비용이 고가이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높음
  • 복합설비로 전체 설비의 구성과 제어가 복잡하여 연계시스템의 최적화, 시스템 고효율화, 운영
  • 안정화 및 저비용화가 요구됨
시스템 구성도

석탄이용기술은 가스화부, 가스정제부, 발전부 등 3가지 주요 Block과 활용 에너지의 다변화를 위해 추가되는 수소 및 액화연료부 등으로 구성됨

시스템구성도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안양시가 창작한 "바이오/폐기물/석탄가스화·액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기후대기과 > 에너지관리팀
  • 전화번호 031-8045-2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