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정보

지명유래

안양의 지형그림 사진
안양(安養)이란 명칭은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창건된 안양사(安養寺)에서 유래되었다.
신라 효공왕 4년(900)에 궁예의 후예인 왕건이 금주(시흥)와 과주(과천)등의 지역을 징벌하기 위해 삼성산을 지나게 되었다.
이때 산꼭대기의 구름이 5가지 빛으로 채색을 이룬것을 보고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살피게 했다.
구름밑에서 능정(能正)이란 노스님을 만났는데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니 왕건의 뜻과 같으므로 이곳(만안구 석수1동 산 2번지 일대)에 안양사를 창건하게 되었다.

이 안양사로 인해 안양이란 명칭이 탄생하였다. 조선시대에 정조대왕께서 부친 사도세자의 능행을 위해 가설한 만안교의 안(安)자와 함께, 양(養)자는 후세사람에게 인륜의 근본인 효의 뜻을 살리기 위해 쓰여진 것으로 짐작한다.

또한 1941년 시흥군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개칭되며 쓰였는데

안양이란 불교에서 마음을 편하게 하고 몸을 쉬게하는 극락정토의 세계로 모든일이 원만구복하여 즐거움만 있고 괴로움은 없는 자유롭고 아늑한 이상향이다. 2010년에는 중초사지 당간지주가 세워져있는 구 유유부지를 발굴도중 안양사(安養寺) 명문기와가 발굴되어 이곳이 통일신라시대 중초사에서 고려시대에 안양사가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우리시의 정체성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 시의 지명유래 근원지임을 추정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동행정복지센터 한자표기

안양시 만안구(安養市 萬安區)

  • 안양1동 : 安養1洞
  • 안양2동 : 安養2洞
  • 안양3동 : 安養3洞
  • 안양4동 : 安養4洞
  • 안양5동 : 安養5洞
  • 안양6동 : 安養6洞
  • 안양7동 : 安養7洞
  • 안양8동 : 安養8洞
  • 안양9동 : 安養9洞
  • 석수1동 : 石水1洞
  • 석수2동 : 石水2洞
  • 석수3동 : 石水3洞
  • 박달1동 : 博達1洞
  • 박달2동 : 博達2洞

안양시 동안구(安養市 東安區)

  • 비산1동 : 飛山1洞
  • 비산2동 : 飛山2洞
  • 비산3동 : 飛山3洞
  • 부흥동 : 復興洞
  • 달안동 : 達安洞
  • 관양1동 : 冠陽1洞
  • 관양2동 : 冠陽2洞
  • 부림동 : 富林洞
  • 평촌동 : 坪村洞
  • 평안동 : 坪安洞
  • 귀인동 : 貴仁洞
  • 호계1동 : 虎溪1洞
  • 호계2동 : 虎溪2洞
  • 호계3동 : 虎溪3洞
  • 범계동 : 범계동
  • 신촌동 : 新村洞
  • 갈산동 : 葛山洞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안양시가 창작한 "안양이름의 유래"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관광과 > 문화관광
  • 전화번호 031-8045-2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