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지센터
▣ 위치 : 안양6동 행정복지센터 | ||||
부서명 | 직위 | 전화번호 | 담당업무 | |
---|---|---|---|---|
만안구 > 안양6동 | 동장 | 031-8045-3657 | ○ 안양6동 업무 총괄 | |
▣ 위치 : 안양6동 행정복지센터 | ||||
부서명 | 직위 | 전화번호 | 담당업무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팀장 | 031-8045-3658 | ○ 행정팀 업무총괄, 문화, 체육, 통합민원지원, 전시병무담당 ○ 단체관리 : 체육회, 청소년지도자협의회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013 | ○ 청소, 환경, 건설, 교통, 보건(방역), 건축(광고물), 차량관리 ○ 사회복무요원관리 (개인정보), 고용경제(일자리 및 공공근로) ○ 단체관리 :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자율방재단, 방위협의회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918 | ○ 총무, 기획, 감사, 자치행정(동향, 동장일일순찰), 선거,의회,통계,홍보(역사갤러리 포함), ○ 전시병무담당,통합민원지원(대체인력관리) ○ 단체관리 : 통장협의회, 자율방범대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910 | ○ 주민자치센터 운영, 청년수당, 통합민원지원 ○ 단체관리 :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부녀회, 바르게살기위원회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654 | ○ 예산 회계, 청사관리, 민방위(전시병무업무) ○ 서무(기록물, 보안), 정보통신(개인정보) ○ 단체관리 : 주민참여예산위원회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911 | [통합민원창구] ○ 전입ㆍ시민일반(재등록, 거주불명등록, 취학)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913 | [통합민원창구] ○ 출생·사망(인구동태, 가족관계등록), 증발급 |
|
만안구 > 안양6동 > 행정팀 | 주무관 | 031-8045-3912 | [통합민원창구] ○ 인감, 등초본, 세외수입(인증기), 민원24, 제증명, 청소년증, 무인민원발급기 |
|
▣ 위치 : 안양6동 행정복지센터 | ||||
부서명 | 직위 | 전화번호 | 담당업무 | |
만안구 > 안양6동 > 맞춤형복지팀 | 팀장 | 031-8045-3015 | ○ 맞춤형복지팀 업무 총괄 ○ 동V터전 |
|
만안구 > 안양6동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31-8045-3652 | ○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 차상위, 자활근로사업 ○ 저소득 주민지원복지기금, 주민생활안정지원 ○ 학생교육비 지원 |
|
만안구 > 안양6동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31-8045-3014 | ○ 긴급복지 및 경기도형 긴급복지 ○ 저소득 한부모가정, 여성복지 ○ 이웃돕기 (현물) ○ 주거복지 (전세임대, 매입임대) ○ 청년 월세 지원 ○ 경로당 관리 |
|
만안구 > 안양6동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31-8045-3659 | ○ 노인 (기초연금, 노인사회활동, 경로잔치, 장수수당, 노인맞춤돌봄서비스)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전국민 마음투자, 일상돌봄 서비스 등 ○ 자산형성지원사업 (희망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노동자 통장) ○ 보훈, 에너지바우처 |
|
만안구 > 안양6동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31-8045-3795 | ○ 장애인 (장애인등록, 재판정, 장애인연금, 장애수당,장애인 활동지원, 발달재활서비스, 장애인 보장구) ○ 아동 (아이돌봄서비스, 양육수당, 보육, 유아학비,아동급식, 지드림카드) ○ 문화누리카드 |
|
▣ 위치 : 안양6동 행정복지센터 | ||||
부서명 | 직위 | 전화번호 | 담당업무 | |
만안구 > 안양6동 > 찾아가는복지 | 팀장 | 031-8045-3867 | ○ 찾아가는복지팀 업무총괄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지역자원 발굴 및 개발 ○ 찾아가는 복지팀 차량관리 ○ 단체관리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만안구 > 안양6동 > 찾아가는복지 | 주무관 | 031-8045-3851 | ○ 동 사례관리 추진 및 사례관리비 집 ○ 찾아가는 복지상담(대상자 발굴 및 서비스 연계) ○ 복지사각지대(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 고독사 예방 및 관리, 누구나돌봄 ○ 지역건강자원 발굴 및 서비스 연계 ○ 이웃돕기(성금) |